본문 바로가기

이원재의 생각

청년에게 투자를

내가 매주 출연하는 라디오 토론프로그램의 지난 번 주제는 서울시의 청년활동지원금이었다. 취업포기자, 불안정 노동자, 대학졸업 유예자 등 사회 밖 청년들 중 괜찮은 활동계획을 세워온 이들에게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까지 지원하겠다는 정책 프로그램이다.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맞은편 토론자는 주장했다. 정부 지원사업과 유사중복사업이니 중단해야 한다. 그가 유사하다고 했던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은 미취업자가 직업훈련을 받을 때 월 40만원씩 지원하는 제도다. 하지만 청년활동지원금은 기존 취업지원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회 밖 청년의 사회참여활동 전반을 지원하려는 제도다. 직업훈련지원과는 다르다.


그러자 그 토론자는 바로 다른 논리를 들이댔다. 총선을 앞두고 벌이는 선심성 사업이며 실효성이 없다. 정부 지원사업과 유사중복사업이면서 선심성이고 실효성이 없다면, 정부 사업도 선심성이고 실효성이 없다는 뜻 아닌가? 서울시의 청년활동지원금은 연간 예산 90억원을 쓰고, 유사하다는 정부 사업은 연간 예산 2100억원을 쓰는데 말이다.


감정을 거두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좋은 정책은 교과서로부터 만들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과정은 대략 이렇다.


해결되지 않는 사회문제가 나타나면, 비영리와 사회적경제 같은 민간 영역에서 먼저 뛰어들어 실험적인 해법을 들이대 본다. 민간의 실험 중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정책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선택해 소규모로 실습해 본다. 민간이나 지자체 사업 가운데 일반화할 가치가 있는 것을 선별해 중앙정부에서 전국화해 실행한다. 이게 새로운 문제 해결책을 역동적으로 내놓는 과정이다. 그러니 정부는 사실 지방자치단체의 실험적 사회정책을 최대한 권장하는 게 맞다.


청년활동지원금 제도는 청년들에 대한 투자와 같은 성격을 띨 수 있다. 실리콘밸리의 투자자가 어느 청년의 새로운 사업아이디어에 대해 투자한다면, 그 투자자는 그 청년과 함께 위험을 나누어 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회 밖을 맴돌던 청년이 활동지원을 통해 사회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일을 만들어 낸다면, 그 성과는 사회 전체가 나누어 갖는다. 물론 실패하면 그 손실은 사회 전체가 나누어 책임진다. 결과는 불확실하지만 일단 뭐든 해보도록, 가능성을 찾도록 하는 게 투자의 목적이다.


불평등 연구의 권위자인 앤서니 앳킨슨은 저서 <불평등을 넘어>에서 청년들에 대해 기초자본을 형성해줘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모든 사람에게 성인이 되는 순간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액수(수천만원)을 제공하는 것이 공정하다는 제안이다. 부모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지 않은 사람도 무언가 해볼 수 있는 여지를 주자는 게 핵심이다.


서울시도 되돌아볼 점이 있다. 이 정책은 지원이나 보장이 아니라 투자라야 했다. 지원이라고 스스로를 제약하다 보니 액수도 적고 대상도 제한적이다. 물론 세금으로 운영하는 지자체에서 추진하다 보니 생겨난 제약이기도 하다.


박근혜 대통령의 제안으로 마련된 청년희망펀드가 더 과감하게 청년 사회활동에 대한 투자를 실험해 보는 것도 좋겠다. 이미 대기업을 중심으로 2천억원이나 조성된 이 펀드는 아직 이렇다할 사업계획이 없다. 이대로 가다가는 안전하게 이자놀이만 하며 관리인력 일자리만 만들고 끝날 가능성도 높다. 민간 기금답게 원금을 모두 소진해 청년들에게 가능성을 준다는 생각으로 과감한 실험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못하는 일들을 시도해봐야 한다.


어쨌든 지금은 뭐든 해봐야 할 시점이다. 가만히 있다가는 다같이 가라앉는다.


* <한겨레>에 게재한 칼럼입니다.